우주 최강의 쌤즈
이미지

강좌상세보기

강좌상세보기Home > 강좌상세보기

Doit 깡샘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

강좌이미지

강좌정보

강성윤 보기
수강신청
수강신청 가능
수강기간
365
학습시간
41시간29
커리큘럼
251차시
학습방식
커리큘럼 자율 수강방식
수강기기
PC

Doit 깡샘의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with 코틀린

가격
200,000
30%
할인가
140,000
상품금액
140,000
원 적립예정
장바구니 바로 구매하기
강좌소개 커리큘럼 강좌후기 질문과 답변 공지사항
구매하기

강좌소개

 

커리큘럼

강좌 회차별 커리큘럼 안내입니다. 강좌의 진행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습니다.
회차(차시)
커리큘럼명(차시명)
샘플강좌
강의시간
1회차
00 강의안내
3분
2회차
01-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하기
보기
12분
3회차
01-2 첫 번째 앱 만들기 #1 - 프로젝트 생성
보기
12분
4회차
01-2 첫 번째 앱 만들기 #2 - Logcat, 안드로이드 SDK, 기타설정
12분
5회차
01-3 앱 실행하기 #1 - 가상 기기에서 실행
14분
6회차
01-3 앱 실행하기 #2 - 실제 스마트폰에서 실행
8분
7회차
01-4 앱 출시하기 #1 - 배포파일, 앱 서명, 구글 Play 스토어에 게시
12분
8회차
01-4 앱 출시하기 #2 - AAB 배포 파일 만들기
9분
9회차
01-4 앱 출시하기 #3 - 구글 플레이에 앱 등록하기
11분
10회차
02-1 안드로이드 소개 #1 - 안드로이드 특징
9분
11회차
02-1 안드로이드 소개 #2 - 안드로이드 버전
8분
12회차
02-2 안드로이드 앱 개발의 특징 #1 -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1
보기
14분
13회차
02-2 안드로이드 앱 개발의 특징 #2 - 컴포넌트 기반의 개발 2
보기
10분
14회차
02-2 안드로이드 앱 개발의 특징 #3 - 리소스를 활용한 개발
7분
15회차
02-3 앱 구성 파일 분석 #1 - 프로젝트 폴더 구성
8분
16회차
02-3 앱 구성 파일 분석 #2 - build.gradle.kts
12분
17회차
02-3 앱 구성 파일 분석 #3 - AndroidManifest.xml
11분
18회차
02-3 앱 구성 파일 분석 #4 - 리소스폴더
8분
19회차
02-3 앱 구성 파일 분석 #5 - 레이아웃 XML, MainActivity
8분
20회차
03-1 코틀린 언어 소개 #1 - 코틀린 등장 배경
12분
21회차
03-1 코틀린 언어 소개 #2 - 코틀린 파일 구성
12분
22회차
03-1 코틀린 언어 소개 #3 - 코틀린 파일 구성 - Lab
12분
23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1 - 변수 선언하기
13분
24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2 - 변수 선언하기 - LAB
8분
25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3 - 데이터 타입
17분
26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4 - 데이터 타입 - LAB
8분
27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5 - 함수 선언하기
11분
28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6 - 컬렉션 타입 - Array
12분
29회차
03-2 변수와 함수 #7 - 컬렉션 타입 - List, Set, Map
13분
30회차
03-3 조건문과 반복문 #1 - if ~ else 와 표현식
10분
31회차
03-3 조건문과 반복문 #2 - when 조건문
11분
32회차
03-3 조건문과 반복문 #3 - for와 while 반복분
9분
33회차
04-1 클래스와 생성자 #1 - 클래스 선언 및 주 생성자
17분
34회차
04-1 클래스와 생성자 #2 - 클래스 선언 및 주 생성자 - LAB
7분
35회차
04-1 클래스와 생성자 #3 - 보조 생성자
10분
36회차
04-1 클래스와 생성자 #4 - 보조 생성자 - LAB
6분
37회차
04-2 클래스를 재사용하는 상속 #1 - 상속과 생성자
11분
38회차
04-2 클래스를 재사용하는 상속 #2 - 오버라이딩
10분
39회차
04-2 클래스를 재사용하는 상속 #3 - 접근제한자
10분
40회차
04-3 코틀린의 클래스 종류 #1 - 데이터 클래스
12분
41회차
04-3 코틀린의 클래스 종류 #2 - 데이터 클래스 - LAB
7분
42회차
04-3 코틀린의 클래스 종류 #3 - 오브젝트 클래스
9분
43회차
04-3 코틀린의 클래스 종류 #4 - 오브젝트 클래스 - LAB
7분
44회차
04-3 코틀린의 클래스 종류 #5 - 컴패니언 클래스
11분
45회차
05-1 람다 함수와 고차 함수 #1 - 람다함수
10분
46회차
05-1 람다 함수와 고차 함수 #2 - 람다함수 - LAB
9분
47회차
05-1 람다 함수와 고차 함수 #3 - 함수 타입과 고차 함수
10분
48회차
05-1 람다 함수와 고차 함수 #4 - 함수 타입과 고차 함수 - LAB
8분
49회차
05-2 널 안전성 #1 - 널 안전성이란
10분
50회차
05-2 널 안전성 #2 - 널 안전성 연산자
11분
51회차
06-1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#1 - 코드로 화면 구성하기
8분
52회차
06-1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#2 - 코드로 화면 구성하기 - LAB
9분
53회차
06-1 화면을 구성하는 방법 #3 - XML로 화면 구성하기
7분
54회차
06-2 뷰 클래스 #1 - 뷰 클래스의 기본 구조
12분
55회차
06-2 뷰 클래스 #2 - 레이아웃 XML의 뷰를 코드에서 사용하기
11분
56회차
06-2 뷰 클래스 #3 - 뷰의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
6분
57회차
06-2 뷰 클래스 #4 - 뷰의 간격 및 표시 여부 설정
10분
58회차
06-3 기본적인 뷰 살펴보기 #1 - TextView
12분
59회차
06-3 기본적인 뷰 살펴보기 #2 - ImageView
8분
60회차
06-3 기본적인 뷰 살펴보기 #3 - Button, CheckBox, RadioButton
5분
61회차
06-3 기본적인 뷰 살펴보기 #4 - EditText
8분
62회차
06-4 뷰 바인딩
9분
63회차
06-4 뷰 바인딩 - LAB
9분
64회차
06-5 카카오톡 비밀번호 확인 화면 만들기
11분
65회차
07-1 선형으로 배치 - LinearLayout #1 - 배치 규칙
12분
66회차
07-1 선형으로 배치 - LinearLayout #2 - weight
10분
67회차
07-1 선형으로 배치 - LinearLayout #3 - gravity 와 layout_gravity
10분
68회차
07-2 상대 위치로 배치 - RelativeLayout
8분
69회차
07-3 겹쳐서 배치 - FrameLayout
7분
70회차
07-4 표 형태로 배치 - GridLayout #1 - 배치 규칙
7분
71회차
07-4 표 형태로 배치 - GridLayout #2 - 다양한 속성
9분
72회차
07-5 계층 구조로 배치 - ConstraintLayout
10분
73회차
07-6 전화 앱의 키패드 화면 만들기
12분
74회차
08-1 터치와 키 이벤트 #1 - 터치 이벤트
10분
75회차
08-1 터치와 키 이벤트 #2 - 터치 이벤트 - LAB
9분
76회차
08-1 터치와 키 이벤트 #3 - 키 이벤트
11분
77회차
08-1 터치와 키 이벤트 #4 - 키 이벤트 - LAB
6분
78회차
08-2 뷰 이벤트 #1 - 이벤트 구조
10분
79회차
08-2 뷰 이벤트 #2 - 이벤트 구조 - LAB
7분
80회차
08-2 뷰 이벤트 #3 - 클릭과 롱클릭 이벤트 처리
8분
81회차
08-2 뷰 이벤트 #4 - 클릭과 롱클릭 이벤트 처리 - LAB
6분
82회차
08-3 시계 앱의 스톱워치 기능 만들기
13분
83회차
09-1 리소스의 종류와 특징 #1 - 리소스 종류
9분
84회차
09-1 리소스의 종류와 특징 #2 - layout, drawable, mipmap
11분
85회차
09-1 리소스의 종류와 특징 #3 - values
15분
86회차
09-1 리소스의 종류와 특징 #4 - color, font
8분
87회차
09-1 리소스의 종류와 특징 #5 - 플랫폼 리소스
10분
88회차
09-2 리소스 조건 설정 #1 - 리소스 조건이란?
15분
89회차
09-2 리소스 조건 설정 #2 - 화면회전에 대응, 국제화
10분
90회차
09-3 폰 크기의 호환성
10분
91회차
09-4 메신저 앱의 인트로 화면 만들기
12분
92회차
10-1 API 레벨 호환성 고려하기
8분
93회차
10-2 퍼미션 설정하기 #1 - 퍼미션이란
15분
94회차
10-2 퍼미션 설정하기 #2 - 퍼미션 허용 요청
13분
95회차
10-3 다양한 다이얼로그 #1 - 토스트
10분
96회차
10-3 다양한 다이얼로그 #2 - 날짜, 시간 입력받기
8분
97회차
10-3 다양한 다이얼로그 #3 - 알림 창 띄우기
9분
98회차
10-3 다양한 다이얼로그 #4 - 목록 창 띄우기
8분
99회차
10-4 소리와 진동 알림 #1 - 소리 알림
6분
100회차
10-4 소리와 진동 알림 #2 - 진동 알림
9분
101회차
10-5 알림 띄우기 #1 - 알림 채널
9분
102회차
10-5 알림 띄우기 #2 - 알림 객체
14분
103회차
10-5 알림 띄우기 #3 - 알림 이벤트
12분
104회차
10-5 알림 띄우기 #4 - 원격입력과 프로그래스
8분
105회차
10-5 알림 띄우기 #5 - 알림 스타일
8분
106회차
10-6 카카오톡 알림 만들기 #1 - 기본 준비
12분
107회차
10-6 카카오톡 알림 만들기 #2 - 알림 발생
17분
108회차
11-1 제트팩과 androidx 소개
9분
109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1 - 툴바
11분
110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2 - 툴바 - LAB
6분
111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3 - 업 버튼
8분
112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4 - 메뉴 구성
10분
113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5 - 리소스로 메뉴 구성
6분
114회차
11-2 appcompat 라이브러리 #6 - 액션 뷰 이용
7분
115회차
11-3 프래그먼트 #1 - 프래그먼트란
9분
116회차
11-3 프래그먼트 #2 - 프래그먼트 구현
9분
117회차
11-3 프래그먼트 #3 - 프래그먼트 구현 - LAB
5분
118회차
11-4 리사이클러 뷰 #1 - 리사이클러뷰 구성요소
9분
119회차
11-4 리사이클러 뷰 #2 - 리사이클러뷰 구성요소 - LAB
8분
120회차
11-4 리사이클러 뷰 #3 - 리사이클러뷰 레이아웃 매니저
7분
121회차
11-4 리사이클러 뷰 #4 - 리사이클러뷰 아이템 데커레이션
8분
122회차
11-5 뷰 페이저2
13분
123회차
11-6 드로어 레이아웃
12분
124회차
11-7 제트팩을 이용해 화면 구성하기 #1 - Fragment
9분
125회차
11-7 제트팩을 이용해 화면 구성하기 #2 - RecyclerView
15분
126회차
11-7 제트팩을 이용해 화면 구성하기 #3 - Toolbar
9분
127회차
11-7 제트팩을 이용해 화면 구성하기 #4 - ViewPager2
11분
128회차
12-1 앱바 사용하기 #1 - 앱바 레이아웃
13분
129회차
12-1 앱바 사용하기 #2 - 코디네이터 레이아웃
11분
130회차
12-1 앱바 사용하기 #3 - 컬랩싱 툴바 레이아웃
11분
131회차
12-2 탭 레이아웃 #1 - TabLayout
11분
132회차
12-2 탭 레이아웃 #2 - 뷰 페이저와 연동
7분
133회차
12-3 내비게이션 뷰
10분
134회차
12-4 확장된 플로팅 액션 버튼
5분
135회차
12-5 머티리얼 라이브러리로 화면 구성하기 #1- 레이아웃 구조
12분
136회차
12-5 머티리얼 라이브러리로 화면 구성하기 #2 - 앱바적용
14분
137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1 - 인텐트란
보기
12분
138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2 - 엑스트라 데이터
8분
139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3 - ActivityResultLauncher
14분
140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4 - 인텐트 필터
12분
141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5 - 인텐트 필터 - LAB
5분
142회차
13-1 인텐트 이해하기 #6 - 액티비티 동작 방식
10분
143회차
13-2 액티비티 생명주기 #1 - 액티비티의 상태
11분
144회차
13-2 액티비티 생명주기 #2 - 액티비티의 상태 저장
10분
145회차
13-3 액티비티 ANR 문제와 코루틴 #1 - ANR 이란
8분
146회차
13-3 액티비티 ANR 문제와 코루틴 #2 - 코루틴으로 ANR 해결
15분
147회차
13-4 할 일 목록 앱 만들기
13분
148회차
14-1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이해하기 #1 - 리시버 등록
12분
149회차
14-1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이해하기 #2 - 리시버 실행
8분
150회차
14-2 시스템 상태 파악하기 #1 - 부팅완료, 화면 on-off
12분
151회차
14-2 시스템 상태 파악하기 #2 - 배터리 상태
7분
152회차
14-3 배터리 정보 앱 만들기 #1 - 리시버 실행
10분
153회차
14-3 배터리 정보 앱 만들기 #2 - 배터리 정보 획득
10분
154회차
15-1 서비스 이해하기 #1 - 서비스 생성과 실행 - startService()
11분
155회차
15-1 서비스 이해하기 #2 - 서비스 생성과 실행 - bindService()
10분
156회차
15-1 서비스 이해하기 #3 - 서비스 생명주기
11분
157회차
15-2 바인딩 서비스 #1 - IBinder 객체 바인딩
5분
158회차
15-2 바인딩 서비스 #2 - AIDL 통신 기법
9분
159회차
15-3 백그라운드 제약 #1 - 리시버 백그라운드 제약
10분
160회차
15-3 백그라운드 제약 #2 - 서비스 백그라운드 제약
8분
161회차
15-3 백그라운드 제약 #3 - 서비스 백그라운드 제약 - LAB
8분
162회차
15-4 잡 스케줄러
14분
163회차
15-5 MP3 재생 앱 만들기 #1 - outer 앱 준비
14분
164회차
15-5 MP3 재생 앱 만들기 #2 - outer 앱 연동
13분
165회차
15-5 MP3 재생 앱 만들기 #3 - JobService
13분
166회차
16-1 콘텐츠 프로바이더 이해하기 #1 - 콘텐츠 프러바이더 작성
12분
167회차
16-1 콘텐츠 프로바이더 이해하기 #2 - 콘텐츠 프러바이더 이용
12분
168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1 - 주소록 앱 연동
15분
169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2 - Bitmap 과 OOM
11분
170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3 - 갤러리 앱 연동
10분
171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4 - 카메라 앱 연동 - 썸네일 방법
10분
172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5 - 카메라 앱 연동 - 파일 공유 방법
7분
173회차
16-2 안드로이드 기본 앱과 연동하기 #6 - 지도 앱, 전화 앱 연동
10분
174회차
16-3 카메라, 갤러리 앱과 연동하는 앱 만들기 #1 - 갤러리
13분
175회차
16-3 카메라, 갤러리 앱과 연동하는 앱 만들기 #2 - 카메라
8분
176회차
17-1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기 #1 - 질의문 작성하기
12분
177회차
17-1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기 #2 - 질의문 작성하기 - LAB
6분
178회차
17-1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기 #3 - 데이터베이스 관리하기
12분
179회차
17-2 파일에 보관하기 #1 - 내장 메모리 이용
11분
180회차
17-2 파일에 보관하기 #2 - 외장 앱별 메모리 이용
7분
181회차
17-2 파일에 보관하기 #3 - 공용 저장소 이용
9분
182회차
17-2 파일에 보관하기 #4 - 공용 저장소 이용 - LAB
13분
183회차
17-3 공유된 프리퍼런스에 보관하기 #1 - SharedPreference
8분
184회차
17-3 공유된 프리퍼런스에 보관하기 #2 - 앱 설정 만들기
10분
185회차
17-3 공유된 프리퍼런스에 보관하기 #3 - 설정 화면 구성
14분
186회차
17-3 공유된 프리퍼런스에 보관하기 #4 - 설정 제어
8분
187회차
17-4 개선된 할 일 목록 앱 만들기 #1 - preference
14분
188회차
17-4 개선된 할 일 목록 앱 만들기 #2 - database
9분
189회차
18-1 스마트폰 정보 구하기 #1 - 전화 상태 변화 감지
8분
190회차
18-1 스마트폰 정보 구하기 #2 - 전화 상태 변화 감지 - LAB
8분
191회차
18-1 스마트폰 정보 구하기 #3 - 네트워크 제공 국가, 사업자, 전화번호 얻기
7분
192회차
18-1 스마트폰 정보 구하기 #4 - ConnectivityManager
7분
193회차
18-1 스마트폰 정보 구하기 #5 - ConnectivityManager - LAB
7분
194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1 - Volley 라이브러리 이용
9분
195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2 - Volley 라이브러리 이용 - LAB
8분
196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3 - Volley 라이브러리 이용 - ImageRequest, NetworkImageView
10분
197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4 - Volley 라이브러리 이용 - JsonObjectRequest
9분
198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5 - Retrofit - 구조
10분
199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6 - Retrofit - 모델 클래스
11분
200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7 - Retrofit - 서비스 정의와 네트워킹
12분
201회차
18-2 HTTP 통신하기 #8 - Retrofit - 어노테이션
8분
202회차
18-3 이미지 처리하기 - Glide 라이브러리
10분
203회차
18-4 뉴스 앱 만들기 #1 - 기본 준비
13분
204회차
18-4 뉴스 앱 만들기 #2 - Application, Adapter, NetworkService
10분
205회차
18-4 뉴스 앱 만들기 #3 - Volley
13분
206회차
18-4 뉴스 앱 만들기 #4 - Retrofit
5분
207회차
19-1 사용자 위치 얻기 #1 - LocationManager
9분
208회차
19-1 사용자 위치 얻기 #2 - LocationManager - LAB
8분
209회차
19-1 사용자 위치 얻기 #3 - Play Service 라이브러리
8분
210회차
19-1 사용자 위치 얻기 #4 - Play Service 라이브러리 - LAB
9분
211회차
19-2 구글 지도 활용하기
11분
212회차
19-3 구글 지도 앱 만들기 #1 - 맵키 등록
12분
213회차
19-3 구글 지도 앱 만들기 #2 - 퍼미션 설정
13분
214회차
19-3 구글 지도 앱 만들기 #3 - 위치 획득 및 지도 제어
12분
215회차
20-1 파이어베이스 이해하기
7분
216회차
20-2 파이어베이스 연동하기
14분
217회차
20-3 인증 기능 이용하기
15분
218회차
20-4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 만들기 #1 - 인증 설정
14분
219회차
20-4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 만들기 #2 - 구글 로그인
10분
220회차
20-4 회원가입과 로그인 기능 만들기 #3 - 이메일 비밀번호 가입 및 로그인
12분
221회차
21-1 클라우드 파이어스토어 #1 - 파이어스토어 데이터 모델 및 보안 규칙
11분
222회차
21-1 클라우드 파이어스토어 #2 - 데이터 저장
8분
223회차
21-1 클라우드 파이어스토어 #3 - 데이터 업데이트, 삭제, 획득
6분
224회차
21-2 파이어베이스 스토리지 #1 - 파일 올리기
8분
225회차
21-2 파이어베이스 스토리지 #2 - 파일 내려받기
7분
226회차
21-3 이미지 공유 앱 만들기 #1 - 스토어, 스토리지 설정
14분
227회차
21-3 이미지 공유 앱 만들기 #2 - 스토어, 스토리지 연동 구현 - 저장
7분
228회차
21-3 이미지 공유 앱 만들기 #3 - 스토어, 스토리지 연동 구현 - 출력
10분
229회차
21-4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메시징 #1 - 원리
12분
230회차
21-4 파이어베이스 클라우드 메시징 #2 - 작성법
5분
231회차
21-5 서버에서 보내는 알림 받기 #1 - 안드로이드 앱 준비
10분
232회차
21-5 서버에서 보내는 알림 받기 #2 - 메시지 전송 테스트
8분
233회차
22-1 컴포즈 이해하기 #1 - 선언형 UI 프로그래밍이란
13분
234회차
22-1 컴포즈 이해하기 #2 - 상태관리란
6분
235회차
22-1 컴포즈 이해하기 #3 - 컴포즈 프로젝트 구조
12분
236회차
22-2 상태 다루기 #1 - 상태란
7분
237회차
22-2 상태 다루기 #2 - 상태란 - LAB
8분
238회차
22-2 상태 다루기 #3 - 단방향 데이터 흐름
10분
239회차
22-2 상태 다루기 #4 - rememberSaveable
6분
240회차
22-2 상태 다루기 #5 - ProvidableCompositionLocal
14분
241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1 - 모디파이어 이용
9분
242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2 - Row 와 Column
7분
243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3 - Alignment
6분
244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4 - 스코프 모디파이어
8분
245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5 - Box
13분
246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6 - ConstraintLayout
13분
247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7 - 리스트
7분
248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8 - 내비게이션
10분
249회차
22-3 컴포즈로 화면 구성하기 #9 - 내비게이션 - LAB
12분
250회차
22-4 컴포즈로 뉴스 앱 만들기 #1 - 사전준비
9분
251회차
22-4 컴포즈로 뉴스 앱 만들기 #2 - 목록구성
8분